정비정비소의 IT이야기

지수는 쌓고, 방향은 잡는다 – 초보 블로거의 성장 로드맵 완전정리

정쌤의 IT이야기 2025. 5. 17. 16:40

 이 글은 ‘그냥 글만 쓰다 보면 잘 되겠지’라는 마음으로 시작했다가, 어느 순간 블로그 성장이 멈춘 것 같아 막막해진 분들을 위한 안내서예요.

무작정 글만 올리는 블로그 운영에서 벗어나, ‘지수’라는 개념을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법을 공유드릴게요. 이 글은 어디까지나 제가 직접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며 체감한 실전 기반의 이야기이니, 꼭 참고해 주세요!

블로그는 티블로그나 네이버 블로그나 운영방식이나 노출방식은 거의 비슷하다고 판단되어 오늘 이글을 작성합니다.


🎯 블로그에 목적이 없다면 지수도 없다

처음 블로그를 시작할 땐, 기록의 의미로 자유롭게 쓰곤 하죠. 하지만 “진짜 블로그를 키우고 싶다”, “수익도 만들고 싶다”라는 목표가 생긴다면, 지수 관리는 반드시 필요합니다.

📌 이 글은 수익형, 정보형 블로그를 염두에 둔 분들에게 해당돼요. 단순한 일기 블로그를 원하신다면 해당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
❗ 지수를 떨어뜨리는 글 유형, 당장 멈춰야 할 것들

🧿 초보 블로거가 가장 많이 하는 실수: 바로 광고 글, 체험단 후기부터 시작하는 겁니다.

인플루언서 블로그를 보면 광고성 콘텐츠가 많은데, 그건 이미 고지수를 확보한 상태이기 때문에 가능한 거예요. 우리는 다릅니다.

🧿 체험단 글, 광고 후기 글은 지수 관리 측면에서 최대한 작성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.
📌 하지만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 상황이라면, '검색 허용' 설정을 반드시 체크하여 최소한의 노출 조건을 갖추는 것이 그나마 도움이 됩니다.

✅ 지수를 높이고 싶다면:

  • 광고성 글은 최소화
  • 체험단 글은 꼭 '검색 허용' 설정
  • 내 블로그 정체성에 맞는 콘텐츠만 유지

🧭 카테고리 정리와 주제 통일이 기본

블로그 글 수가 많아질수록 콘텐츠 정리 구조가 중요해집니다.

📌 50개 미만의 글로는 지수가 엉킬 가능성이 크고, 중복된 내용이 많을수록 저품질 위험이 커져요.

정쌤 기준 실전 예시

  • 전체 글 86개 중, 디지털 주제만 55개 구성
  • 나머지는 일상/기록형 글로 분산해 가볍게 보완

✅ 최소 70%는 한 방향으로 밀어붙이기!

이미지 출처 : 본인 네이버 블로그 캡쳐

ALT 텍스트: 블로그 주제별 글수 현황,주제에 맞는 글이 70%이상이 되어야 좋아요.

[요약 박스 – 블로그 주제 통일 체크리스트]

  • 주제 카테고리 3개 이내
  • 동일 주제 반복 시 서브 각도 달리기
  • 정보성 콘텐츠 > 체험 후기 비중 높이기

📊 지수의 핵심은 누적과 관리입니다

네이버 블로그는 단순히 ‘많이 올린다’고 되는 게 아니에요.

지수는 시간, 빈도, 내용, 반응까지 전반적으로 계산돼요.

💡 그래서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할 항목은 아래와 같아요:

  • 누락 글 확인 (검색 안 되는 글)
  • 일반 글 ↔ 인플루언서 노출 여부
  • 체류시간, 댓글, 스크랩 반응

이미지 출처 : 본인 블덱스 조회 캡쳐

ALT 텍스트: 블로그 누락 글 확인 툴 예시 화면 캡션: 누락 글은 즉시 수정 게시하거나 보완해야 해요

✅ 누락이나 일반 글은 바로 삭제 ❌ → 먼저 원인을 분석하고, 수정 게시 → 비공개 → 이후 삭제 순서 권장


🪜 단계별 목표를 세워보세요

정쌤 기준 목표 설정 예시:

  • 50개 즈음: 준최3 이상 목표
  • 100개 즈음: 준최4 달성 시도
  • 200개 즈음: 최적2 도전 + 인플루언서 신청

📌 준최2는 이제 누구나 쉽게 도달하는 단계예요. 경쟁력은 준최4 이상부터 생깁니다.


💬 반응 요소도 지수에 포함됩니다

네이버는 글을 ‘읽힌 시간’과 ‘이후 반응’을 모두 계산합니다.

✅ 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소:

  • ⏳ 체류시간
  • 💬 댓글 수
  • 🔁 스크랩 수

📌 특히 스크랩은 본인이 직접 유도할 수 있는 부분이에요. ‘유용하면 스크랩 부탁드려요’ 한 줄 넣어보세요. 😊

이미지 출처 : 본인 네이버블로그 캡쳐

ALT 텍스트: 블로그 외부 공유를 허용하여 스크랩을 유도하셔야 해요.

[요약 박스 – 지수 반응 요소 관리 팁]

  • 댓글 유도: 질문형 마무리 문장 사용
  • 체류시간: 목차 & 소제목으로 글 흐름 유도
  • 스크랩: 말미에 간단하게 안내

🌱 블로그는 정보정비소처럼, 정비하고 쌓아가는 공간입니다

지금 이 글도, 네이버 블로그 ‘정보정비소’를 직접 운영하며 느끼고 기록한 경험이에요.

지수는 하루아침에 생기지 않습니다. 광고나 휘황찬란한 트렌드보다, 차곡차곡 쌓아가는 기록이 결국 결과를 만들어요.

오늘 글 하나, 내일 또 하나. 그렇게 글 200개 즈음에 도달하면 ‘최적2’라는 성과를 볼 수 있을 거예요.


✨ 마무리하며

“지금 느린 게 아니라, 끝까지 가는 중입니다.”

블로그는 한순간 반짝하는 공간이 아니라, 꾸준히 정비하고 관리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.

오늘도 정보정비소에서, 정쌤이 그 길을 함께 걷고 있어요. 우리 함께, 끝까지 가보자고요. 😊

더불어 티블로그도 함께 꾸준히 키워 나갈생각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