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정비정비소의 IT이야기

브루(Vrew) 초보 탈출! 자막 자동 생성부터 쇼츠 편집까지 한 번에

by 정쌤의 IT이야기 2025. 5. 15.

어제 수업에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셨죠?

“선생님, 자막 왜 이렇게 밀려요?”
“대본 입력은 어디서 해요?”

 

저 정쌤도 사실 그 시간, 딴짓 좀 하느라 수업을 온전히 못 들었답니다. 😅
하지만 놓친 김에! 혼자 복습 겸 쇼츠 영상 편집 실습을 해봤어요.


“오늘은 브루(Vrew)를 활용해 자막 자동화부터 쇼츠 영상 제작 팁까지
정보정비소 스타일로 정리해볼게요!”


1. 브루(Vrew)로 영상 불러오기부터 시작!

브루는 처음 사용하는 분들도 비교적 쉽게 익힐 수 있는 영상 편집 툴이에요.

먼저 브루를 실행해서 ‘새 프로젝트 만들기’ 클릭!
PC에 저장해둔 영상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을 불러옵니다.

이미지 출처: 이하 모든이미지 브루 작업캡쳐 입니다.


ALT: 브루 시작 화면 – 새 프로젝트 만들기
캡션: PC에서 영상을 불러오고 자막 작업을 시작해요

저는 ‘타입캐스트’에서 만든 TTS 음성을 먼저 가져왔어요.
선생님 목소리 버전이라 그런지 왠지 더 집중되더라고요. 😊


2. 자동 자막 분석 & 쇼츠 비율 설정

브루는 영상 불러오면 자동으로 자막을 분석해줍니다.
자막이 나오면 **화면비율을 쇼츠(9:16)**로 바꿔주세요.


ALT: 브루 자막 분석 결과 화면
캡션: 자동 생성된 자막은 쇼츠 비율에 맞게 설정하면 좋아요

“👉 이때 꼭 전체 자막을 선택해서
글꼴, 크기, 위치까지 서식에서 맞춰주는 걸 잊지 마세요!”
전 글자를 위로 올리고 크기는 살짝 키웠어요.


3. 짧은 영상 여러 개 올리고, 효과적으로 분할하기

저는 짧은 영상 4개만 골라서 불러왔어요.
각 영상을 한 장면씩 나눠서 배치하면, 같은 영상도 다르게 보입니다.


ALT: 브루에 여러 개의 짧은 영상 불러오기
캡션: 짧은 영상도 4개로 나누면 다양한 구성 가능!

영상마다 시작점을 다르게 조정해보세요.
그러면 하나의 영상이 마치 네 개의 영상처럼 변신합니다. ✨


4. 자막은 ‘원고 불러오기’로 한 방에 넣기

대부분 실수하시는 부분이 여기예요!
**‘자막 불러오기’가 아니라 ‘원고 불러오기’**입니다.

  1. 미리 작성해둔 대본 텍스트 파일을 저장
  2. 자막 메뉴 → 원고 불러오기 → 텍스트 선택 후 열기
  3. 자동으로 자막이 맞춰 들어갑니다

텍스트는 대사 단위로 정리돼 있을수록 자막 정렬 정확도가 높아져요.


ALT: 자막 원고 불러오기 경로 화면
캡션: ‘원고 불러오기’로 텍스트 자막 자동 정렬!

자막 위치가 어긋날까 걱정 마세요.
대본 정리만 잘 되어 있다면 거의 완벽하게 들어갑니다. 👍


5. 자막 꾸미기: 효과, 글꼴, 테두리까지

자막 전부 선택한 뒤, 테두리를 검정색으로 설정하면
밝은 배경에서도 가독성이 좋아져요.

자막 효과도 중요한데요,
저는 개인적으로 타이핑 효과
‘카툰 팝’ 같은 팝업 효과를 자주 사용합니다.


ALT: 자막 효과 설정 화면 (카툰 팝 선택)
캡션: 자막 효과는 시선을 끄는 요소! 쇼츠엔 필수입니다

“🎨 마지막으로 글꼴은 영상 톤에 맞게 선택하고,
자막은 중앙 정렬로 배치하면 전체 완성도가 높아져요.”
요즘은 눈에 확 띄는 폰트가 쇼츠에 특히 잘 어울리더라고요.


6. 내보내기 전, 꼭 ‘무음 구간 줄이기’!

모든 작업을 마쳤다면?
바로 내보내기 전 단계에서 무음 구간 줄이기를 꼭 실행해 주세요.

이 과정 하나로 영상 템포가 훨씬 경쾌해져요!
몰입도도 올라가고, 짧은 시간 안에 더 많은 메시지를 담을 수 있죠.


ALT: 브루 무음 구간 줄이기 설정 화면
캡션: 영상 완성 직전엔 반드시 무음 구간 제거를 해주세요!

이제 내보내기 버튼을 눌러주면,
🎯 하나의 영상에서 출발한 효과적인 쇼츠 콘텐츠 완성!


🧠 정쌤의 실전 복습 정리

항목실습 내용 요약
 
❇️ 영상 불러오기 브루에서 영상 또는 오디오 파일 불러오기
❇️ 자막 생성 자동 분석 후 쇼츠 비율 설정
❇️ 자막 입력 원고 불러오기 기능 활용
❇️ 효과 적용 텍스트 모션, 글꼴, 테두리 설정
❇️ 영상 분할 시작점 조정으로 장면 재활용
❇️ 내보내기 무음 구간 제거 + 고화질 저장
 

💬 마무리하며…

처음엔 좀 어렵게 느껴졌지만,
한 번 해보니 "아, 이게 이렇게 되는 거였네!" 하고
감이 딱 오더라고요. 😊

정식 수업에선 다 다루지 못했던
실제 실습 중심의 리얼 후기로 공유드렸고요,
혹시 중간에 놓치셨거나 복습이 필요하신 분들께
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


🌈 정보정비소의 응원 한 마디

“기술은 결국 손으로 익혀야 제 것이 됩니다.”
오늘도 여러분의 디지털 콘텐츠가
조금 더 빛날 수 있도록,
정쌤은 뒤에서 계속 테스트하고 실습하며
함께 걸어가고 있답니다.

궁금한 건 언제든 댓글 주세요!
정보정비소와 함께, 우리 같이 성장해요 💪